티스토리 뷰
목차
안녕하세요!
요즘 뉴스 볼 때마다 정치 얘기, 법안 얘기… 너무 어렵고 복잡하게만 느껴지지 않나요?
특히 최근 **“노란봉투법”**이 다시 국회에 올라간다며 시끌시끌합니다.
노동자, 직장인, 자영업자, 누구나 영향을 받을 수 있는 법인데 용어도 낯설고, 내용도 어렵다고 느껴질 수 있어요.
그래서 오늘은 2025년 현재 다시 추진 중인 노란봉투법을 쉽게, 친근하게 풀어서 한눈에 이해할 수 있도록 정리해 볼게요.
뉴스에서 스쳐 지나가던 정보들이 이 글을 읽고 나면 쏙쏙 들어올 거예요!
1. 노란봉투법, 그 이름의 의미
노란봉투법이라는 이름, 들어봤는데 정확히 뭘 의미할까요?
1) 어디서 유래됐나?
2009년 쌍용자동차 정리해고 사태 당시, 파업에 나선 노동자들에게 회사가 막대한 손해배상을 청구했습니다.
이를 돕기 위해 시민들이 성금을 모아 ‘노란 봉투’에 담아 전달했는데, 이 사건이 계기가 되어 과도한 손해배상 청구를 막자는 취지로 법안 이름에 그대로 쓰이게 된 것이죠.
2) 무엇을 목표로 하나?
과도한 손해배상 청구로부터 노동자를 보호 원청과 하청의 관계에서 발생하는 책임의 공백을 메우는 것
파업, 단체교섭권 등을 조금 더 공정하게 보장
2. 왜 2025년에 다시 추진될까?
지난 2023년에도 한 차례 국회를 통과했지만, 당시에는 대통령 거부권 행사로 좌절되었어요.
하지만 2025년 들어 노동계의 오랜 요구와 새 정부의 공약에 따라 이 법이 다시 본회의에 오르게 되었습니다.
2025년 7월 28일, 국회 환경노동위원회(환노위)를 통과하면서 본회의 상정을 앞두고 있어요.
특히 이번에는 8월 4일 본회의에서 표결 처리가 유력합니다.
3. 이번 개정안, 어떤 내용이 바뀌었을까?
이번 개정안의 핵심을 한눈에 보기 좋게 표로 정리해 봤어요.
구분 | 주요 내용 |
사용자 범위 확대 | 원청이 하청 노동자의 근로조건에 실질적으로 영향을 미친다면 교섭 의무 발생 |
쟁의행위 범위 확대 | 임금·근로조건 외에 경영상 의사결정(예: 구조조정)도 쟁의 대상 포함 |
손해배상 제한 | 고의나 불법이 아닌 경우 노동자·노조에 대한 손해배상 청구 제한 |
4. 찬반 입장 정리
<찬성 (노동계 중심)>
- 하청 노동자들도 원청과 직접 교섭할 수 있게 됨
- 과도한 손해배상 청구로 인한 생계 위협 감소
- 노사 관계의 힘의 균형 회복
<반대 (경영계 중심)>
- 기업 경영활동 위축, 투자 감소 우려
- 파업·쟁의가 늘어날 가능성
- 해외 기업 투자 환경 악화 가능성
<정부 입장>
- 법 시행 전 6개월의 유예 기간을 두고 준비
- 노사 갈등 최소화를 위한 지침 마련
5. 앞으로의 일정은?
- 2025년 8월 4일 국회 본회의 상정
이때 통과될 경우 6개월 유예 후 2026년 초부터 시행 예정입니다. - 국민의 힘은 필리버스터(의사진행 방해)를 예고했지만,
현재로서는 법안 통과 가능성이 높다는 전망이 많습니다.
6. 이 법이 통과되면, 우리의 삶에 어떤 변화가?
<노동자라면?>
- 파업이나 집단행동에 대한 과도한 손해배상 압박이 줄어듭니다.
- 하청 근로자라도 원청과 직접 협상할 길이 열립니다.
<기업이라면?>
- 책임 범위가 확대돼 관리 부담이 늘어날 수 있습니다.
- 하지만 장기적으로는 노사 갈등의 룰이 명확해지는 효과도 기대됩니다.
자, 이렇게 해서 노란봉투법이 다시 추진되는 배경과 주요 내용을 모두 정리해 봤어요.
법이 통과되면 노동환경에 큰 변화가 생길 수 있지만, 그 의도는 단순합니다.
**“노사 관계에서의 불균형을 조금 더 공정하게 만들자”**는 것이죠.
앞으로 뉴스 보실 때,“이제 법이 어떻게 달라질지”, “나의 직장, 내 삶에 어떤 영향이 있을지” 조금 더 분명히 이해하실 수 있을 거예요.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